
타이거 우즈가 이야기 한 것 처럼, 드라이버를 바꾸면 드라이버만 연습하면 되지만, 볼을 바꾸면 모든 클럽을 연습해야 합니다. 그런면에서 골프볼은 라운드 중 필수이자 그 자체로 목적이 되는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골프볼의 중요성을 조금은 간과하고 있지 않은가 싶어요. 이렇게 중요한 줄은 알고 있지만, 막상 보기에 멀쩡한 볼이 있는데 새로운 볼을 사기엔 조금 망설여 지시는 분들은 마인드골프가 예전에 경험했던 일화를 소개 해 드릴게요. 마인드골프도 물론 골프 초기엔 많은 볼을 사용했었죠. 볼 비용도 만만치 않은지라 매번 새 볼을 사진 못하고 라운드 중 주운 볼을 사용하기도 하고 때론 중고볼이라고 하는 유즈드볼(used ball)을 사서 사용해본 적도 있었지요...
아이튠즈를 통한 팟캐스트를 들으시는 것이 가장 쉽고 편한 방법이지만, 아이튠즈를 이용하실 수 없거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유튜브에도 올려서 팟캐스트를 공유합니다. ^^ 골프공의 오목한 부부의 이름이 무엇이고 왜 그렇게 공을 디자인 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마인드골프 팟캐스트 (아이튠즈; 아이폰, 아이패드) http://itunes.apple.com/us/podcast/id481162674아이튠즈에서 '마인드골프' 또는 '골프' 검색 구독(Subscribe) 버튼으로 구독하면 자동 업데이트 마인드골프 팟캐스트 (안드로이드)앱스토어에서 'beyond pod' 다운로드 설치 링크 정보에 http://podcast.teetii.com/mindgolf.xml 입력
골프공은 다른 구기 종목의 공에 비해서 표면이 많이 울퉁불퉁하게 생겼는데, 가끔 왜 이렇게 생겼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한번 쯤은 있었을 겁니다. 이것이 딤플(Dimple) 이라고 하는데, 골프가 시작된 초기에는 골프공은 지금의 딤플이 없는 매끈한 공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골프 선수들이 골프를 치다보니 골프공에 좀 상처와 찌그러짐이 있는 공이 좀더 많이 나가는 현상을 알게 되면서 본격적인 공에도 과학이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죠. 어디에서 보니 300야드 날리는 드라이버를 예전의 공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해 보니 150야드 밖에 안나간다고 하더군요. 이것이 가능한 것은 공기역학적으로 굴곡이 있는 면에서 보다 공기 흐름이 뒤로 잘 빠지는 현상 때문입니다. 매끄러운 면에서는 공기가 공의 마지막에서 와류..
- Total
- Today
- Yesterday
- LPGA
- 캘리포니아 골프장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타이거우즈
- 골프장
- 골프컬럼
- 골프책
- GIR
- 라운딩
- 아마추어 골퍼
- 시사골프
- Golf
- 팟캐스트
- 골프 팟캐스트
- 멋쟁이골퍼
- 골프
- 드라이버
- 스크램블링
- 마인드골프
- 골프상식사전
- 골프스윙
- 퍼팅
- 골프강의
- 세계골프랭킹
- 골프동영상
- World Golf Ranking
- 로리맥길로이
- 아이튠즈
- 골프상식
- 얼바인 골프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