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상식] #94. 공이 살짝 움직였다가 제자리로 돌아올 경우 벌타일까?[골프상식] #94. 공이 살짝 움직였다가 제자리로 돌아올 경우 벌타일까?
Posted at 2013. 12. 20. 08:30 | Posted in 골프 상식공을 사용해서 하는 많은 운동의 경우 대부분이 그 공은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 어떤 동작들이 발생하지요. 축구에서는 시작할때 축구장 중앙에서 공을 세워 두고 킥오프(kick-off)하는 경우 또는 반칙이나 골킥과 같은 경우 특정 위치에 공을 세워 두고 차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움직이는 공을 차거나 몸에 맞춰서 경기가 진행이 되지요. 이와 비슷하게 야구, 농구, 배구 등도 모두 다 공이 서 있는 경우 보다는 대부분이 공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경기가 진행이 되지요.
출처 : marshall-wi.com
반면, 골프는 이와는 반대로 공은 어떠한 상황에서든 기본적으로 멈춰져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를 진행해야 합니다. 예외적으로 스윙을 시작한 후에 공이 움직일 때 스트크로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자주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요. 티잉 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하기 전에 티 위에 공을 올려 놓았을 때에도, 페어웨이, 러프, 벙커와 같은 곳에서도 기본적으로는 최종 공이 멈춰서 있는 상태에서 어드레스를 하고 샷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퍼팅 그린에서도 마찬가지로 공을 놓고 멈춰서 있는 상태에서 퍼팅을 해야 하는 것이지요.
만약 샷을 하기전에 어떠한 영향으로든 공이 움직인다면 그 공은 상황에 따라서 벌타를 받을 수도 있고 무벌타 일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원래 공이 있던 위치로 다시 리플레이스 하여 다음 샷을 해야 하는 것이죠.
그런데, 실제 라운드에서 위와 같이 명백하게 공이 움직이는 경우와는 달리 조금은 애매한 경우를 적지 않게 경험을 하게 됩니다. 특히 이런 경우는 페어웨이, 그린과 같이 공이 위치한 상태가 좋은 경우 보다는 러프나 벙커 등과 같이 공이 경사면이나 루스 임페디먼트(loose impediment) 등이 많은 곳에 공이 위치할 경우 간혹 발생할 수 있지요.
출처 : ytimg.com
예를 들어 공이 위치한 곳이 조금은 지형이 파여 있다든지, 공 주변에 나뭇잎 또는 나뭇가지 등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지형이 조금 파여 있어서 살짝 공이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있거나, 나뭇잎, 돌과 같이 루스 임페디먼트를 치우는 과정에서 공이 살짝 움직일 수 있지요. 이런 경우 과연 공이 명백히 움직인 것은 맞는데, 골프 룰에서는 이런 경우 어떻게 적용이 될 것인지를 알아 보지요.
마인드골프가 운영하는 카페인 마인드골프 카페에 최근에 한분이 올리신 질문에 이와 관련한 것이 있어서 찾아 보던 중에 명확하게 알게 된 내용이기도 한데요. 이 내용은 골프 룰북에 명시되어 있진 않고 판례집(decision book)에 나와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르면 공이 조금 움직이더라도 조금 움직여서 공이 다시 원위치로 왔을 경우에는 벌타가 없다는 내용입니다.
18/2. 어드레스 중에 공이 흔들리는 경우
Q. 어드레스에서 플레이어가 우연히 공이 움직일 수 있는 행동을 했으나 그 공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 왔다. 이런 경우 "공은 움직였다"고 할 수 있는가?
A. 아니다.
영어 표현으로는 "oscillate(진동하다, 흔들리다)"라는 표현인데요. 공이 "구"로 생겼기에 살짝 움직일 경우 공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움직이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골프 룰에서는 벌타가 없다라는 것입니다.
당연하게도 공이 움직여서 제자리로 오지 않았을 경우엔 1타의 벌타가 부과되고, 공은 원래의 위치에 다시 리플레이스를 하고 플레이를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움직인 공의 위치에서 그대로 플레이를 한다면 오소 플레이(wrong place)로 벌타를 추가로 받게 됩니다. 간혹 연습 스윙 중에 공을 맞추는 경우가 있는데, 많은 경우 연습 스윙 중 맞은 공이 위치한 곳에서 플레이를 하기도 하는데, 이를 룰에 위반이 되고 이때는 연습 스윙 중 잘못 맞은 공을 원래의 위치로 다시 가져다 놓고 플레이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이번 다룰 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움직였다(moved)"라고 하는 생각으로 볼때 공이 진동을 하여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도 물리적으로 "움직였다"라고 할 수 있으나, 실제 골프 룰에서는 조금 움직여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경우에는 실제 "움직였다(moved)"라고 보지 않는 다는 것이죠.
라운드를 하시다 보면 다른 사람이 볼 경우 보다는 자신이 어드레스를 하거나 루스 임페디먼트를 치울때 이런 비슷한 일이 있을 수 있는데요. 다른 사람이 이의를 제기하거나 뭐라고 하기 전에 누구 보다 자신이 잘 알 수 있기에 이러한 상식을 알고 있다면 그리고 공이 다시 원 위치로 돌아온 경우라면 타수를 속이는 듯한 느낌의 죄의식(?) 없이 플레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는 것이 마인드 골프에도 도움이 되겠지요?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96. 로리맥길로이 구제(relief) 실수로 2벌타 받은 사연 (2) | 2014.01.24 |
---|---|
[골프상식] #95. 언플레이어블 볼(Unplayable Ball) 선언 (0) | 2014.01.17 |
[골프상식] #93. 원래 타수(스코어)보다 많이 기록해도 실격? (0) | 2013.12.11 |
[골프상식] #92. 어드바이스, 동반자 골프 백(bag)을 보고 사용한 클럽을 알게 되면? (0) | 2013.11.21 |
[골프상식] #91. 골프 리더 보드(스코어 보드)에 표시 되는 순서 (2) | 2013.11.15 |
[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
Posted at 2012. 10. 25. 09:13 | Posted in 골프 컬럼'화단에 들어간 공 구제 받을 수 있지?'
'여기 물이 좀 있는 페어웨이에 떨어진 공 무벌타로 칠 수 있나? 공도 닦을 수 있나?'
'내 공이 바로 펜스에 있는데 이 공 구제 받을 수 있나?
골프 라운드를 하다 보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 많이 있을 수 있지요. 해저드(Hazard), OB(Out of Bounds), 워터 해저드와 같은 경계가 되어 있거나 표시가 되어 있는 지역은 누구나가 보기에 명확하기에 많이들 알고 있는대로 골프 룰을 적용하여 벌타를 받고 진행하거나 다시 원위치로 가거나, 잠정구를 치는 등의 플레이를 진행하면 된다.
출처 : e-golfnews.com
그러나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자주 발생하지 않거나 애매한 상황이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을 합니다. 당사자를 포함해서 동반자들도 모두 정확히 이 룰에 대해서 어떻게 적용을 할지를 정확히 모를 경우에 과연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어떤 분들은 동반자들과 이 경우는 이렇게 하자고 그자리에서 합의(?)하여 진행하시는 분들도 있고, 좀 안 좋은 경우에는 서로 자신의 주장이 맞다고 하며 때아닌 필드에서 토론을 하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급기야 언성이 높아지며 얼굴을 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내기가 걸렸을 경우엔 더 심할 수 있지요.
마인드골프는 항상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는데요. 아무래도 주변에서 이런 애매한 상황을 여쭤보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그렇게 가장 좋은 것은 모든 골퍼가 골프 룰을 다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상 그렇게 될수는 없지요. 그래서 대안으로 좋은 방법은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시는 것도 좋겠고, 요즘은 스마트폰용 앱으로도 룰북을 설치해서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골프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공식 룰과 로컬 룰이란 것이 있습니다. 공식 룰은 R&A(Royal & Ancient; 영국 왕실 골프 협회)와 USGA(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미국 골프협회)가 제정하고 4년에 한번씩 개정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2012.1.1에 개정된 룰이 적용된 가장 최신의 룰이 현재의 룰이고 다음은 2016년에 4년 동안 논의하고 협의한 내용을 적용하여 개정을 하게 됩니다. 이 공식 룰은 모든 골프 투어 대회에서 기본적으로 적용이 되어 경기가 진행이 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하는 고스톱 놀이에도 지역마다 그리고 하는 사람들마다 그들 나름의 로컬룰(?)이 존재를 하지요. 이와 같이 골프에서도 골프장의 상황, 대회의 특성에 따라 로컬룰이 다르게 적용 됩니다.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로컬룰로 볼 수 있는 것이 오비 티박스(OB Tee Box)일 것입니다. OB는 공식 규정상 원래 쳤던 위치에서 벌타를 1타 부여 받은 후 쳐야 하는 것이 룰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골프장 특성상, 진행을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OB티라는 것을 만들어서 로컬룰로 적용을 하고 있지요.
최근에 있었던 PGA 대회 어느 골프장에서는 골프장에 벙커가 너무 많았는데 벙커에서도 클럽을 땅에 내려 놓고 어드레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룰을 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원래 규정으로는 벙커는 해저드의 종류이기에 해저드에서 클럽을 내려 놓을 수 없는 규정으로 벌타를 부여 받게 됩니다.
이렇듯 모든 골프장과 대회에서는 각 골프장과 환경의 특성에 따라서 로컬룰을 제정합니다. 자세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러한 로컬룰은 보통 스코어카드 뒷면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마인드골프가 있는 미국 골프장의 한 스코어카드입니다. 한국은 주로 캐디가 스코어카드를 가지고 스코어도 일괄적으로 적기에 스코어카드를 자세히 볼 기회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로컬룰은 공식룰과 어떤 관계로 적용이 될까요?
이미 위에 언급한 내용을 보시면 눈치를 채셨겠는데요. 이러한 로컬룰은 공식 룰에 우선해서 적용이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위의 스코어카드를 보시면 맨 위에 "아래 로컬룰을 제외한 나머지는 USGA룰을 적용한다.' 라고 표기가 되어 있지요. 그리고 적용되는 로컬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요. 선수들이 하는 대회에서도 각 대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그 골프 대회에 적용되는 로컬룰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컬룰 중에는 잘 적용만 하면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벌타를 받을 수 있는 경우 무벌타로 진행이 되거나 무벌타에 프리 드롭(free drop)으로 구제를 받을 있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심지어 그린이 아니면서도 공을 닦을 수 있기도 하지요. 예전에 마인드골프가 경험했던 골프장 중에 하나는 골프장 가운데로 송전탑 사이로 전선들이 지나가는데, 샷이 그 전선을 맞으면 다시 플레이해야 한다고 써 있기도 했습니다.
출처 : golfgrinder.com
한국의 경우 캐디가 있기에 대부분의 로컬룰을 캐디가 숙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간혹 캐디들도 로컬룰을 모르는 경우도 있고 공식 룰에 대해서 다 알고 있지 않기에 당시에는 알아볼 수 없지만, 골프가 끝나고 한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그것도 귀찮으면 마인드골프에게 이메일(mentor@mindgolf.net)로 여쭤 보셔도 되구요.
다음번 라운드 가시면 꼭 스코어카드를 따로 하나 받아서 또는 살짝 스코어카드를 보고 로컬룰도 숙지하시고 플레이 하는 것도 좋겠네요. 아니면 어떤 특별한 상황이 되면 로컬룰을 찾아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니면 이 기회에 룰북 하나 장만 하시죠.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85. 기대가 많으면 실망도 크다. 마인드골프! (2) | 2012.11.23 |
---|---|
[골프컬럼] #84. 스윙 헤드 스피드(비거리)를 늘리고 싶으신가요? (2) | 2012.11.01 |
[골프컬럼] #82. 마인드골프 블로그 2년과 숫자들 (0) | 2012.10.04 |
[골프컬럼] #81. 골프스윙의 심리적 희비 순환 패턴 (4) | 2012.09.12 |
[골프컬럼] #80. 골프레슨에 대한 생각(3) : 관찰자 시점, 나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0) | 2012.09.07 |
[골프상식] #37. 새가 공을 물어 날아가다가 물에 빠트린다면?[골프상식] #37. 새가 공을 물어 날아가다가 물에 빠트린다면?
Posted at 2011. 2. 16. 09:24 | Posted in 골프 상식가끔은 살면서 엉뚱한 상상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스포츠에서 그런 상상을 해본 경우가 누구든 있으실 겁니다. 마인드골프의 경우 야구를 보다가 만약 날아가는 새에 공이 맞고 떨어지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를 생각해 봤던 적이 있었지요. 야외에서 하는 스포츠의 경우 드넓게 열려진 공간에서 자연 동물들의 출현은 종종 있으니 그런 동물들로 인한 재밌는 일들이 드물게나마 일어나곤 하지요.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39. 경기중 공 교체를 할 수 있나? (0) | 2011.02.23 |
---|---|
[골프상식] #38. 최경주 선수의 그린 위 공을 맞춰 홀인 시킨 기막힌 샷 (2) | 2011.02.18 |
[골프상식] #36. 프로암 대회라는 것은 무엇인지? (0) | 2011.02.14 |
[골프상식] #35.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 (0) | 2011.02.12 |
[골프상식] #34. 프레지던트 컵 (Presidents Cup) (0) | 2011.02.04 |
[골프상식] #24. 카트길에 스탠스가 되었을때 구제는?[골프상식] #24. 카트길에 스탠스가 되었을때 구제는?
Posted at 2010. 12. 25. 10:24 | Posted in 골프 상식출처 : i.ytimg.co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26. 헛스윙과 의도 (0) | 2011.01.11 |
---|---|
[골프상식] #25. 홀인원 확률 (0) | 2011.01.05 |
[골프상식] #23. 오버파의 종류와 명칭 (0) | 2010.12.23 |
[골프상식] #22. 몸에 이상이 있어서 보조도구를 사용하고 라운드 한다면? (0) | 2010.12.21 |
[골프상식] #21. 벙커 샷 주의사항 및 벙커 내 돌이나 나뭇잎 치웠을 경우 (0) | 2010.12.17 |
[골프상식] #14. 골프공이 땅에 묻힌 경우[골프상식] #14. 골프공이 땅에 묻힌 경우
Posted at 2010. 11. 18. 14:20 | Posted in 골프 상식어제 라운드를 한 분들과 얘기를 하던 중 나온 얘기인데, 저와 다르게 생각하고 있는 거 같아 찾아보고 다른 분들도 아시는게 좋을 거 같아 공유해 드립니다.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16. 그린 주변에서 플레이 순서 (0) | 2010.11.25 |
---|---|
[골프상식] #15. 벙커 주변 고무래에 공이 걸린 경우는? (0) | 2010.11.22 |
[골프상식] #13. OB(오비)의 벌타 카운트 (0) | 2010.11.14 |
[골프상식] #12. 벙커에서 언플레이어블 볼 선언이 가능한가? (0) | 2010.11.12 |
[골프상식] #11. 공이 일시적으로 고인 물에 들어가면 (0) | 2010.11.10 |
[골프상식] #1. 티업 한 공이 치기전 떨어지면[골프상식] #1. 티업 한 공이 치기전 떨어지면
Posted at 2010. 10. 21. 05:37 | Posted in 골프 상식가끔 티 박스에서 티 위에 올린 공이 어드레스 시에 공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이 경우 한타를 인정 받느냐 아니냐의 논쟁이 있는 경우도 가끔 있는데, 골프 룰은 인플레이가 아니기 때문에 벌타 없이 다시 티 위에 올려 놓고 쳐도 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골프 룰 11-3 항에 아래와 같이 정의 되어 있습니다.
제11조 티잉 그라운드(Teeing Ground)
3. 티에서 떨어지는 볼(Ball Falling Off Tee)
인 플레이가 되기 이전의 볼이 티에서 떨어지거나 플레이어가 어드레스중에 떨어뜨렸으면 벌없이 다시 티잉을 할 수 있다. 만일 그러한 상태에서 볼에 스트로크가 행해졌다면 그 볼이 움직이고 있었건 멎어 있었건간에 불구하고 그 스트로크는 1타로 계산할 뿐 벌은 없다.
2019년 1월 골프룰이 개정되면서 룰북 내용의 전면적인 수정이 있었습니다. 개정한 룰은 다음과 같습니다.
6.2b-(5) - 스트로크를 하지 않은 볼은 인플레이볼이 아니다 – 볼을 티에 올려놓든 지면에 내려놓든 홀을 시작하거나 규칙에 따라 티잉구역에서 다시 플레이하는 경우,
• 플레이어가 그 볼에 스트로크를 하지 않는 한, 그 볼은 인플레이볼이 아니므로
• 스트로크를 하기 전에는 페널티 없이 그 볼을 집어 올리거나 움직일 수 있다.
플레이어가 티에 올려놓은 볼에 스트로크를 하기 전에 그 볼이 티에서 저절로 떨어지거나 플레이어가 그 볼을 떨어지게 한 경우, 그 볼은 페널티 없이 티잉구역에서 다시 티업할 수 있다.
그러나 볼이 티에서 떨어지는 도중이나 떨어진 후에 플레이어가 그 볼에 스트로크를 한 경우에는 페널티는 없지만 그 스트로크는 타수에 포함되며, 그 볼은 인플레이볼이다.
물론 파3 처럼 아이언으로 칠 경우 땅에 떨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쳐도 되지만, 벌타가 없으니 굳이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만약 공이 움직이고 있는 상태에서 스트로크를 할 경우에도 별도의 벌타는 없고 그 스윙을 한 스트로크 1타만 계산을 하면 됩니다.
혹시 동반자 중에 이런 것으로 한타를 더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면 가볍게 그렇지 않다고 이 룰 조항을 설명해 주면 좋겠죠?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6. 티샷 하는 순서 (Honor) (0) | 2010.10.29 |
---|---|
[골프상식] #5. 공이 나무위에 걸리면 (0) | 2010.10.27 |
[골프상식] #4. 골프공 딤플(Dimple)이 있는 이유 (0) | 2010.10.26 |
[골프상식] #3. 자신이 친 공에 맞으면 (0) | 2010.10.23 |
[골프상식] #2. 티잉 그라운드 정의 (0) | 201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