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골프생활] 10샷. 아는게 힘? vs 모르는게 약?[슬기로운 골프생활] 10샷. 아는게 힘? vs 모르는게 약?

Posted at 2021. 5. 5. 17:29 | Posted in 동영상/슬기로운 골프생활

샷을 하기 전에 오비나 해저드(페널티 구역)

위치를 아는 것이 좋을 지 아닐지는

골퍼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요.

때로는 아는 것 보다는

모르는 것이 나은 경우도 있는 것 같아

예를 들어 설명해 봅니다. ^^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

Posted at 2012. 10. 25. 09:13 | Posted in 골프 컬럼


'화단에 들어간 공 구제 받을 수 있지?'

'여기 물이 좀 있는 페어웨이에 떨어진 공 무벌타로 칠 수 있나? 공도 닦을 수 있나?'

'내 공이 바로 펜스에 있는데 이 공 구제 받을 수 있나?


골프 라운드를 하다 보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 많이 있을 수 있지요. 해저드(Hazard), OB(Out of Bounds), 워터 해저드와 같은 경계가 되어 있거나 표시가 되어 있는 지역은 누구나가 보기에 명확하기에 많이들 알고 있는대로 골프 룰을 적용하여 벌타를 받고 진행하거나 다시 원위치로 가거나, 잠정구를 치는 등의 플레이를 진행하면 된다.


출처 : e-golfnews.com

그러나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자주 발생하지 않거나 애매한 상황이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을 합니다. 당사자를 포함해서 동반자들도 모두 정확히 이 룰에 대해서 어떻게 적용을 할지를 정확히 모를 경우에 과연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어떤 분들은 동반자들과 이 경우는 이렇게 하자고 그자리에서 합의(?)하여 진행하시는 분들도 있고, 좀 안 좋은 경우에는 서로 자신의 주장이 맞다고 하며 때아닌 필드에서 토론을 하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급기야 언성이 높아지며 얼굴을 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내기가 걸렸을 경우엔 더 심할 수 있지요.


마인드골프는 항상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는데요. 아무래도 주변에서 이런 애매한 상황을 여쭤보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그렇게 가장 좋은 것은 모든 골퍼가 골프 룰을 다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상 그렇게 될수는 없지요. 그래서 대안으로 좋은 방법은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시는 것도 좋겠고, 요즘은 스마트폰용 앱으로도 룰북을 설치해서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골프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공식 룰과 로컬 룰이란 것이 있습니다. 공식 룰은 R&A(Royal & Ancient; 영국 왕실 골프 협회)와 USGA(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미국 골프협회)가 제정하고 4년에 한번씩 개정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2012.1.1에 개정된 룰이 적용된 가장 최신의 룰이 현재의 룰이고 다음은 2016년에 4년 동안 논의하고 협의한 내용을 적용하여 개정을 하게 됩니다. 이 공식 룰은 모든 골프 투어 대회에서 기본적으로 적용이 되어 경기가 진행이 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하는 고스톱 놀이에도 지역마다 그리고 하는 사람들마다 그들 나름의 로컬룰(?)이 존재를 하지요. 이와 같이 골프에서도 골프장의 상황, 대회의 특성에 따라 로컬룰이 다르게 적용 됩니다.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로컬룰로 볼 수 있는 것이 오비 티박스(OB Tee Box)일 것입니다. OB는 공식 규정상 원래 쳤던 위치에서 벌타를 1타 부여 받은 후 쳐야 하는 것이 룰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골프장 특성상, 진행을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OB티라는 것을 만들어서 로컬룰로 적용을 하고 있지요.


[골프상식] #13. OB(오비)의 벌타 카운트

[골프컬럼] #63. 오비(OB) 지역 지정과 오비 티 (OB Tee)에 대한 생각


최근에 있었던 PGA 대회 어느 골프장에서는 골프장에 벙커가 너무 많았는데 벙커에서도 클럽을 땅에 내려 놓고 어드레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룰을 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원래 규정으로는 벙커는 해저드의 종류이기에 해저드에서 클럽을 내려 놓을 수 없는 규정으로 벌타를 부여 받게 됩니다. 


이렇듯 모든 골프장과 대회에서는 각 골프장과 환경의 특성에 따라서 로컬룰을 제정합니다. 자세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러한 로컬룰은 보통 스코어카드 뒷면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마인드골프가 있는 미국 골프장의 한 스코어카드입니다. 한국은 주로 캐디가 스코어카드를 가지고 스코어도 일괄적으로 적기에 스코어카드를 자세히 볼 기회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로컬룰은 공식룰과 어떤 관계로 적용이 될까요?


이미 위에 언급한 내용을 보시면 눈치를 채셨겠는데요. 이러한 로컬룰은 공식 룰에 우선해서 적용이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위의 스코어카드를 보시면 맨 위에 "아래 로컬룰을 제외한 나머지는 USGA룰을 적용한다.' 라고 표기가 되어 있지요. 그리고 적용되는 로컬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요. 선수들이 하는 대회에서도 각 대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그 골프 대회에 적용되는 로컬룰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컬룰 중에는 잘 적용만 하면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벌타를 받을 수 있는 경우 무벌타로 진행이 되거나 무벌타에 프리 드롭(free drop)으로 구제를 받을 있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심지어 그린이 아니면서도 공을 닦을 수 있기도 하지요. 예전에 마인드골프가 경험했던 골프장 중에 하나는 골프장 가운데로 송전탑 사이로 전선들이 지나가는데, 샷이 그 전선을 맞으면 다시 플레이해야 한다고 써 있기도 했습니다.


출처 : golfgrinder.com


한국의 경우 캐디가 있기에 대부분의 로컬룰을 캐디가 숙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간혹 캐디들도 로컬룰을 모르는 경우도 있고 공식 룰에 대해서 다 알고 있지 않기에 당시에는 알아볼 수 없지만, 골프가 끝나고 한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그것도 귀찮으면 마인드골프에게 이메일(mentor@mindgolf.net)로 여쭤 보셔도 되구요.


다음번 라운드 가시면 꼭 스코어카드를 따로 하나 받아서 또는 살짝 스코어카드를 보고 로컬룰도 숙지하시고 플레이 하는 것도 좋겠네요. 아니면 어떤 특별한 상황이 되면 로컬룰을 찾아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니면 이 기회에 룰북 하나 장만 하시죠.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컬럼] #75. 골프 라운드에서 긍정적 긴장과 부정적 긴장의 영향 차이[골프컬럼] #75. 골프 라운드에서 긍정적 긴장과 부정적 긴장의 영향 차이

Posted at 2012. 7. 3. 17:21 | Posted in 골프 컬럼


많은 아마추어 골퍼분들이 잘 알고 있듯이 골프를 실제 실행에 옮기는 부분은 물리적인 행위지만 많은 부분 라운드를 하다 보면 정신적인, 마인드 차원의 상태가 실제 물리적인 행위에 변화를 주고 이것이 결국엔 샷에 영양을 주는 경우를 많이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연습장에서 편하게 여러개의 공을 치다 보면 잘 되던 샷이 막상 푸르고 확 트인 자연 앞에 서면 잘 안되던 샷이 있을수도 있고 앞에 아무것도 없이 보이는 그린으로는 잘 날아가는 샷이 바로 앞에 물이나 벙커와 같은 헤저드가 있을 땐 생각이 복잡하고 몸도 경직되어 좋지 않은 결과의 샷이 나온 적도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출처 : bumpandrunchat.com


위에 언급한 예는 부정적인 긴장 상태로 인한 것이겠는데요. 마인드골프가 생각하기에 이러한 긴장 상태는 꼭 부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긴장 상태도 있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소풍이나 수학여행을 떠나기 전날 또는 몇일 전부터는 설레임과 흥분으로 인해 그 날을 무척이나 기다리곤 했었지요. 그 당일날을 생각해 보면 왠지 입가에 미소도 생기고 괜히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 경험을 말이죠. 또 남자친구나 여자친구가 생겨 한창 연애를 할 때 연인을 만나는 그 설레이는 기분도 이러한 긍정적 긴장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긴장'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는 부정적 뉘앙스를 풍기는 형태로 많이 사용되지만 위에 예를 들었던 것처럼 긍정적 상태로도 긴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보통의 주말 아마추어 골퍼들의 경우 비용이 적지 않아서 자주 라운드를 하지는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찌 보면 라운드가 일년에 연중 행사처럼 몇번 밖에 하지 못하다 보니 라운드 예약(부킹)을 해 놓고 나면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마인드골프도 한국에서 라운드를 할 때는 이런 경우가 많이 있었지요. 그런데 사실 마인드골프는 미국에서 자주 라운드를 하더라도 여전히 골프치러 가는 날은 마음이 설레이고 있긴 한거 보면 꼭 그것이 라운드 횟수와 관계가 있는 것 만은 아닌거 같기도 하네요.


재밌는 것은 이렇게 라운드 날자를 잡아 놓고 기다리다 보면 설레임과 기다림에 전날 잠을 잘 못자거나 왜 그런지 꼭 라운드 전날은 회식이나 모임 또는 술자리가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다들 공감하실거 같은데요. 아무래도 평소 술자리나 회식이 많다 보니 라운드 전날도 예외가 아니라고 보는 관점이 더 맞을 수 있겠죠. 꼭 그렇지는 않지만 주말 골퍼들의 경우 낮에 하는 라운드 보다 새벽 또는 이른 아침 라운드가 많다 보니 이런 전날의 행사(?)로 인해 충분한 숙면을 취하기도 힘들고 때로는 술이 취한 상태로 라운드도 하기도 하지요.


서론이 길었는데요. 그럼 실제 라운드를 하러 가는 당일날 어떤 긴장 상태로 골프장을 가느냐에 따라 어떤 라운드를 하게 되는지를 경험에 비춰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출처 : pnwgolfreview.files.wordpress.com


먼저 긍정적인 긴장 상태를 생각해 보면 이럴 것입니다. 라운드를 하게 되는 기대감에 설레여서 잠을 잘 자지도 못했지만 그래도 골프를 치게 된다는 행복한 상상만으로도 즐거운 상태일 것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때는 힘들거나 피곤함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 하잖아요. 즐거운 마음에 골프장에 도착을 하고 오랫만에 보는 자연과 좋은 공기 그리고 조금 있을 라운드로 한껏 기분이 좋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1번홀 티잉 그라운드에서의 티샷은 많이 긴장이 됩니다. '잘 쳐야 할텐데', 'OB가 나면 안될텐데', '공이 떠야 할텐데' 등의 많은 생각이 1번홀에 도착하기 전부터 생각이 나기도 하구요. '오늘은 몇타를 쳤으면 좋겠는데' 또는 초보자의 경우 '다른 사람에게 민폐를 끼치면 안되는데' 등의 생각이 들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렇게 골프장 나와서 너무 좋다.', '좋아하는 친구들 또는 동반자와 같이 골프를 치게 되서 좋다.', '푸르른 자연과 멋진 풍광을 보니 스트레스가 풀린다.' 등의 생각을 하기에 기분이 좋습니다. 어찌 되었든 티 타임이 되어 1번홀에 올라서고 티잉 그라운드에서 한껏 심호흡을 한 티샷을 날립니다. 안타깝게도 공은 생각 만큼 멋지게 날아가지도 못하고 때로는 심지어 해저드나 오비 지역으로 날아가기도 합니다. 샷의 결과야 나쁠 수도 있지만 좋은 분들과 골프를 하는 것에 더 의미를 두자면 이러한 샷은 전체 플레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샷에서 이번에 잘 할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긴장 상태와 마인드로 임하면 라운드 내내 크게 감정의 기복이 크지 않게 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 부정적인 긴장 상태를 가정해 보지요. 비슷하게 라운드를 하게 되는 긴장감으로 인해 잠도 제대로 못잔 경우도 있고 회식이나 늦은 모임으로 충분한 숙면을 못 취하거나 술이 덜 깬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아침에 일어나서 제일 먼저 생각이 드는 것 중에 하나가 '잠을 잠 못자서 샷이 안 좋을거 같다.', '술을 너무 많이 마셔서 스코어가 안 좋을거 같다.' 등의 생각을 하곤 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골프장 가는 길은 기분이 좋습니다. 1번홀 티잉 그라운드에 올라서기 전 많은 생각이 있습니다. '첫 티샷을 잘 해야 할텐데', '여기서 공이 해저드나 오비가 되어 죽으면 오늘 경기가 말릴텐데'. 아무래도 새벽 또는 이른 아침 티샷이고 잠도 잘 못자고 몸도 잘 안 풀린 상태라 이 긴장감은 더 하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친 첫번째 샷이 잘 안 맞거나 해저드 또는 오비가 되면서 부정적인 긴장 상태로 생각을 계속 하게 되면 부정적인 생각을 계속 확장해 갑니다. '이거 큰일 났는데, 다음 샷도 안 맞으면 어떻게 하지?', '타수를 줄이려면 길게 쳐야 겠는데'. 이런 생각에 다음샷에도 상당히 부담감이 가중 되기도 합니다. 게다가 여기서 이어진 샷도 비슷하게 잘 맞지 않는다면 자신감도 더 떨어지고 긴장 상태로 몸도 더 경직되기도 하지요. 오늘 경기를 전반적으로 망치겠다는 수준까지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면 그렇게 설레임으로 나온 골프 라운드가 자칫 중간에 중단하고 집에 가고 싶을 정도의 생각까지 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반자들과 즐겁게 라운드를 하지도 못하고 집에 오는 길에도 마음이 많이 찜찜하지요.


위의 예가 조금은 극단적인 면이 있긴 하고 우리네 아마추어 골퍼도 사람인지라 두가지의 경우에서 긍정적인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보다는 부정적인 긴장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훨씬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소중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하는 골프를 조금은 더 즐겁고 행복한 시간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이러한 긍정적 긴장을 가지고 골프를 임한다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부정적 긴장 상태에 있는 동반자가 조금은 편하게 골프를 칠 수 있게 또는 그 상황을 긍정적 긴장 상태로 바꿀 수 있게 도와 준다면 더할 나위 없는 배려하는 동반자가 될 것 같네요. 룰에는 어긋나지만 간혹 운영의 묘를 활용하여 멀리건을 준다던지, 공을 열심히 같이 찾아 준다던지, 벌타를 먹고 치게 되는 샷은 조금은 편한 라이에서 치게 해 준다던지, 벙커샷을 여러번 하고 나올때면 대신 고무래로 모래를 정리 정돈 해 준다던지 등의 배려심 깊은 행동은 이러한 동반자가 나머지 라운드를 즐겁게 할 수 있고 머리 속에 좋은 골퍼, 같이 하고 싶은 골퍼의 이미지로 남기기에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추어 골퍼 여러분, 다음 라운드에 당장 실천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팟캐스트] 제26샷. OB(오비)의 벌타 카운트[골프팟캐스트] 제26샷. OB(오비)의 벌타 카운트

Posted at 2012. 6. 7. 08:52 | Posted in 골프 팟캐스트
아이튠즈를 통한 팟캐스트를 들으시는 것이 가장 쉽고 편한 방법이지만, 아이튠즈를 이용하실 수 없거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유튜브에도 올려서 팟캐스트를 공유합니다. ^^

OB 벌타가 2타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자세한 OB 벌타 규정이 어떤지 알아봅니다.

마인드골프 팟캐스트 (아이튠즈; 아이폰, 아이패드)


http://itunes.apple.com/us/podcast/id481162674

아이튠즈에서 '마인드골프' 또는 '골프' 검색

구독(Subscribe) 버튼으로 구독하면 자동 업데이트


마인드골프 팟캐스트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에서 'beyond pod' 다운로드 설치

링크 정보에 http://podcast.teetii.com/mindgolf.xml 입력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컬럼] #63. 오비(OB) 지역 지정과 오비 티 (OB Tee)에 대한 생각[골프컬럼] #63. 오비(OB) 지역 지정과 오비 티 (OB Tee)에 대한 생각

Posted at 2011. 11. 30. 10:33 | Posted in 골프 컬럼

며칠 전 페이스북 팬 페이지(http://www.facebook.com/mindgolf)에 아래와 같은 내용의 질문이 올라왔었습니다.  이 분께서도 골프는 이미 오랫동안 쳐서 기본적인 룰이나 상식은 충분히 아시는 분인데, (정확한 정황은 모르겠지만) 나름 그 상황이 당황스러웠나 봅니다.

같이 동반하신 골퍼께서 티 샷을 OB를 낸 이후에 OB 티에서 치게 되었는데, OB 티에서 티를 꼽고 마치 티샷을 하는 상황이 발생 했습니다. 문제는 주변 분들에게 양해를 구하지도 않고 그냥 치고 나가시고 이것은 룰상 원래 그렇게 해도 된다고 주장을 했습니다. 이런 룰이 있는 것인지요? 그리고 없다면 통상적으로 티를 꼽고 쳐도 되는 것인지요?


먼저 이것에 대해서 알려면 OB란 규정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겠지요. OB는 Out of Bounce Bounds의 약자인데요. 말 그대로 경계 지역 밖이란 얘기입니다. 경계 지역이란 말을 좀 더 이해 하기 쉽게 표현하자면, 경기를 할 수 있는 지역 밖이란 얘기이지요. 간혹 어떤 분들은 헤저드 지역과 혼동을 해서 OB 지역 밖에서도 칠 수 있는 위치라고 주장을 하며 치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OB는 희색 말뚝으로 표시를 해 놓고 공이 있는 위치의 양쪽에 있는 두 말뚝을 이은 선상을 기준으로 안이냐 밖이냐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그러니 OB가 되었다고 판정이 나게 되면 그 공으로는 더 이상 경기 진행을 하지 못하고 OB 규정상 바로 전에 OB를 냈던 곳에서 다시 공을 쳐야 합니다. 헤저드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이구요. 그래서 자신이 친 공이 OB 지역 근처로 날아갔다면 잠정구(Provisonal Ball)를 치고 가야 합니다. 그래야 첫번째 친공이 OB일 경우에 두번째 친 잠정구로 플레이를 해야 하니까요. 그렇지 않으면 규정상 다시 쳤던 곳까지 뒤로 가야 하니까요. 그리고 타수는 첫번째 친 1타, OB가 나서 벌타 1타 그래서 OB가 난 곳에서 다시 치는 타수가 3번째가 됩니다.


선수들의 경우는 이렇게 플레이를 하고, 대부분의 아마추어의 경우 - 특히 한국 골프장에서의 경우엔 - 티샷이 OB가 나게 되면 OB 티란 곳에 가서 4번째 타수를 치게 됩니다. (위에 3타가 어떻게 나오는지는 설명이 되어 있지요?) 한국 골프장이 지형의 특성상 작고 그리고 제한된 시간안에 정해진 손님들을 소화하기 위해서 신속한 진행을 하려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생긴 특이(?)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멋쟁이골퍼가 있는 미국에서는 OB 지역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고, 설령 OB가 있는 곳이라도 OB 티가 존재 하지는 않습니다.

자, 그럼 글 처음에 있었던 질문을 이런 배경 지식을 가지고 생각해 보지요. 골프 규정으로 보면 OB 티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OB 티에서 어떻게 플레이를 하던지 간에 이미 OB 티라는 것이 규정에 없는 것이니 규정을 논하는 것 자체가 잘못 된 것이겠지요. 그렇다면, 다음 문제로 과연 OB 티에서 티를 꼽고 쳐도 될까라는 것인데, 규정에 없는 것이니 규정대로 얘기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고 다만 일반적인 상식 선에서 판단을 해 보자면, 티잉 그라운드에서만 티를 사용할 수 있기에 이미 티잉 그라운드를 떠난 상태인 In-play 상황이므로 티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떻게 보면 벌타나 구체 받을 때 하는 드롭(drop)이나 리플레이스(replace) 형태로 공을 땅에 놓고 치는 것이 맞을 듯 하네요.

출처 : playbuzz.com


어찌 보면 이미 OB 난 상황에 야박하게 보일수도 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에 상황을 최대한 논리(?)적으로 판단해 보면 이렇게 하는게 관행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마추어 골프에서 같이 치는 동반자들과 미리 로컬룰을 만들어서 적용하는 것도 좋을거 같네요. 예를 들어 디봇에 들어가면 옆으로 리플레이스 해서 친다던가, OB 티에서는 선택에 따라 티를 사용할 수 있다던가 처럼 말이죠. 그러면 논란의 여지가 덜 해지겠지요.

이 내용과 관련해서 저와 골프에 대해서 얘기하는 트위터 팔로워(http://twitter.com/mindgolfer)들과 얘기를 나눠봤는데요. 얘기하다가 나온 얘기가 왜 한국에는 OB 지역이 많은가? 입니다. 어떻게 보면 신속한 진행을 위해서 그렇게 한 것 같기도 한데, 어차피 진행을 하는 차원에서는 OB 보다는 헤저드 지역으로 해 놓는게 어떨까 하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생각해 보면 벌타를 받는 차원에서도 1타를 이득 볼수 있을 수 있겠구요. 물론 헤저드로 지정하더라도 헤저드 위치에 따라서 OB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요. 그러면 티잉 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할 때도 상대적으로 OB에 대한 부담감이 덜하니 샷이 더 잘 되지 않을까 하는 약간의 소망도 생각해 봅니다.

골프장에서는 홀의 많은 부분을 OB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에 다른 이유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혹시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OB 보다는 헤저드 형태로 지정을 하는게 좋지 않을까 기대를 해 봅니다. 얘기를 듣자하니 일부 골프장에서는 이렇게 OB를 헤저드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더 많은 골프장이 동참하였으면 좋겠네요. ^^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컬럼] #55. 나만의 스코어카드 만들어 보기[골프컬럼] #55. 나만의 스코어카드 만들어 보기

Posted at 2011. 8. 24. 08:54 | Posted in 골프 컬럼

골프를 치면서 스코어에 연연하진 않지만 그래도 스코어에 완전히 초연해서 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그리고 스코어에 관심이 없이 치는 골프는 진정 골프의 재미가 많이 빠진 마치 팥 빠진 붕어빵과 같이 뭔가 심심하겠지요. 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은 때론 스코어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때로는 한 두타 적게 친 것에 마냥 기뻐 하기도 하는거 같아요. 그리고 실력이 좋아지면 좋아질 수록 타수 줄이는게 어려우니 - 반대로 타수 늘기는 쉽지만 - 한 두타에 희비가 엇갈리는 경우도 종종 있는거 같아요.

스코어카드는 어찌 보면 단순한 18홀 동안의 친 타수의 합을 보여 줄 수도 있지만, 그 스코어카드를 잘 활용하면 그날의 경기 내용을 많이 담을 수 있고 이것으로 그날 경기를 한번 돌아보기도 하고 이것이 모여지면 자신의 최근 골프 트랜드,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골프 인생의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뭐 프로가 될 것도 아닌데, 그런것까지 신경을 쓸 필요가 있겠느냐라고 반문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골프의 진정한 재미는 무엇보다 직접 무엇인가를 골퍼 자신이 해 나가는데 있는거 같아요. 최소한 마인드골프는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마인드골프가 올리는 글 중에는 '라운드기록' 이라는 섹션이 있습니다. 스코어카드와 함께 그날의 경기를 한번 되짚어 보고 동반자들과 했던 즐거운 라운드을 한번 회상해 보는 시간이지요. 이미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 스코어카드는 빈 공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기호나 숫자로 꽉 차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그동안 제 스코어카드에 대해서 어떻게 기록을 하는 것인지 여쭤보시곤 하셔서 이번 기회에 마인드골프만의 스코어카드 적는 방식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많은 다른 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스코어카드를 사용하시는데 이 방식이 좋다, 안좋다 또는 맞다, 틀리다보다는 이렇게도 활용을 하는구나 차원으로 봐 주시면 좋을거 같네요.


위 사진은 제가 최근에 친 스코어카드의 샘플입니다. (최근 친 스코어카드 중 가장 좋은 성적이기에. ^^) 대략 보셔도 아시겠지만, 그래도 하나씩 설명을 해 드리겠습니다.

실제 스코어

맨 첫줄에 있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선수들은 전체 스코어를 적곤 합니다. 파4에서 파를 하면 '4'라고 적는 방식이죠. 그런데 이 방식으로 쓰면 나중에 더하기 하기가 만만찮지요.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오버한 숫자만 적는 방식을 한국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압니다. 미국 사람들과 치다보면 이 친구들은 전체 스코어를 적는 것을 간혹 보곤 하지요. 여튼, 오버한 숫자만 적고 - 예를 들어, 파(0), 보기(1), 더블보기(2) 이렇게 - 나중에 각 9홀의 규정 파 숫자를 더하여 기록을 하면 되지요.

OB, Hazard

오비와 해저드는 들어갔는지 '1'와 안들어갔는지 '-'로 표시를 합니다. 위 스코어카드에 보면 대부분 들어가지 않았기에 '-' 표시가 많지요. 만약 한 홀에서 오비와 해저드가 2번 이상이면 숫자로 표시를 해 주면 되고요. 각 9홀의 합과 18홀의 합을록해 주면 되구요.

F/H

이것은 Fairway 적중률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Fairway Hit이라고 보고 약자인 F/H으로 표기를 하면 되겠네요.  이것도 오비, 해저드 기록 방식과 동일하게 페어웨이에 떨어졌으면 '1', 그렇지 않으면 '-'로 표기를 하면 됩니다. 그리고각 9홀에서 페어웨이에 얼마나 적중했는지를 전체 드라이버 친 횟수대비로 x/y 형태로 적어줍니다. x는 적중한 횟수이고 y는 전체 드라이버 친 횟수겠지요. 물론 드라이버 대신 아이언이나 페어웨이 우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포함시켜도 좋구요. 조심해야 할 것은 파3가 간혹 1개 또는 3개가 있는 골프장이 있으니 파3 갯수를 잘 보시고 기록하시면 좋습니다. 18홀이 끝나고 나서는 각 9홀의 합을 적어서 보시면 전체 페어웨이 적중률이 어떤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GIR

GIR은 Green In Regulation의 약자인데요. 소위 애기하는 Regular on을 시도할 샷에서 그린에 올렸는지를 보는 지표합니다. 규정 파에서 2타를 뺀 샷이 그린에 올라갔는지를 보는 것인데요. 쉽게 얘기하면 파3는 1온, 파4는 2온, 파5는 3온을 말하지요. 페어웨이 적중과 비슷하게 그 샷에서 올라갔으면 '1', 그렇지 못하면 '-'로 표기를 하구요. 이것은 페어웨이 적중과는 다르게 모든 홀에서 GIR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가 18입니다. 페어웨이 적중률은 파3를 제외해야 하니까요.

S/S

이것은 Sand Save를 표시하는 것이구요. 샌드(벙커)에서 친 샷으로 파 또는 그 이하(버디, 이글)의 스코어를 기록했는지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파4에서 세컨샷이 벙커에 들어갔는데, 여기서 잘 나와서 1펏으로 파를 하면 Sand Save를 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것의 표기는 벙커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 벙커에 들어갔으나 Save하지 못했으면 '-', Save 했으면 '1'로 표기를 하구요. 각 9홀을 합을 나중에 18홀 기준으로 맨 마지막에 기록하시면 됩니다.

[골프상식] #75. 샌드 세이브(Sand Save) 정의?


그러나 PGA 투어 통계에 있는 "sand save percentage"에서는 그린사이드 벙커에서 나와서 벙커샷을 포함한 2타 이내로 홀 아웃을 하는 경우를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 결과가 파가 아니더라도 관계가 없다는 것이지요. 심지어 9타를 쳤더라도 마지막 홀 아웃 한 것이 벙커에서 나와서 1타로 마무리를 했다면 샌드 세이브(Sand Save)로 본다는 것이지요. 그렇기에 이부분은 본인이 어떠한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기준을 잡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SCR

스크램블링(Scrambling)의 약자로 'SCR'로 기록을 합니다. 스크램블링은 GIR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파 또는 파 이하의 성적인 버디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파4에서 그린에 GIR을 하기 위해 그린을 공략한 샷이 그린에 올라가지 못했을 경우 위에서 언급한 GIR을 하지 못한 경우가 되지요. 이때 세번째 샷이 홀 주변으로 어프로치를 잘 해서 1번의 펏으로 파를 했거나, 어프로치 한 샷이 곧바로 홀로 들어가면서 버디를 한 경우 스크램블링을 했다고 하지요.

스코어카드에 표현하는 것은 스크램블링을 하게 되면 '1'로 하고 못하면 '-'로 하시면 됩니다.


[골프상식] #8. 스크램블링(Scrambling) 이란?


이 지표는 GIR과 관계가 있기에 GIR을 하지 못한 홀 수 만큼 스크램블링의 기회가 있게 됩니다. 18홀 중에서 GIR을 총 6번 했다면 실제로 12번의 스크램블링 기회가 있지요. 이 중에서 몇번의 스크램블링이 성공을 하는지가 스크램블링의 능력을 나타냅니다. 


Putt

마지막으로 퍼팅 갯수를 기록하는 곳입니다. 이 지표는 한 라운드에서 과연 퍼팅을 몇번했는지를 볼수 있는 것입니다. 아마도 많은 골퍼들이 스코어 이외에 적는 가장 흔한 지표이기도 한 것 같구요. 적는 방법은 숫자로 해당 홀에 몇번의 퍼팅을했는지를 쓰면 됩니다. 약간 조심해야 할 것은 그린이 아닌 곳 - 프린지, 에이프런 또는 페어웨이 등 - 에서 퍼터를 사용하여 퍼팅 형태로 스트로크를 한 것은 사용한 클럽이 퍼터지만 어프로치로 카운트 해야 하는 것입니다. 꼭 그린에 올라와 있는 상태에서 한 스트로크만 퍼팅으로 계산을 하셔야 합니다.

다소 복잡해 보이기도 하고 치기도 정신 없는데 이런걸 어떻게 다 하느냐라고 하실 분들도 많으신데요. 처음 해 보실때에는 캐디나 클럽하우스에서 별도로 스코어카드를 하나 받아서 골퍼 자신이 가장 관심 있는 지표 - 예를 들어서 퍼팅 갯수나 GIR 같은 - 부터 하나씩 시작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에 각종 앱 형태로 나와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는 전용 GPS 단말기에도 스코어카드를 입력하는 기능이 들어 있어서 사용하기도 편한거 같구요. 어떤 툴을 사용하던지 나름 골프에서 또 하나의 재미를 얻을 수 것을 알수 있을 것 같구요. 궁긍적으로는 골퍼 자신의 실력에도 분명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 합니다. 마인드골프는 미국에 온 이후로 모든 스코어카드를 이런 형태로 적어서 다 모아가지고 있습니다. 저의 골프 기록의 역사 같은 것지요.

골프에도 많은 IT 또는 디지털의 접근 시도가 있는 시기인데요. 각종 통계나 언제 어디서나 보기엔 디지털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마인드골프는 아직까지 골프는 아나로그적인 접근이 좀 더 좋은거 같습니다. 나중에 마인드골프는 저만의 '명예의 전당' 같은 것을 집에 하나 만들 생각도 있기에 저의 골프 관련 모든 것들을 모으는 것에 관심이 많이 있어서요. 다음 언젠가는 저만의 '명예의 전당'에 대해서 써 볼까 합니다.

당장 다음번 라운드부터 캐디에서 스코어카드 하나 달라고 하셔서 직접 한번 써 보세요. 적극 추천합니다.!!! ^^

그리고 혹시 더 좋은 아이디어나 제안 있으면 글 남겨주시면 좋구요.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

[골프상식] #9. 멀리건(Mulligan) 유래[골프상식] #9. 멀리건(Mulligan) 유래

Posted at 2010. 11. 5. 09:24 | Posted in 골프 상식

골프 라운드 하면서 누구나 몇번은 받아본 멀리건(Mulligan)이란게 있습니다. 이번에는 멀리건이 어떤 의미이고 어디서 나온말인지를 얘기해 볼까 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몰간" 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정확한 명칭은 멀리건(Mulligan)입니다. 그럼 먼저 이 멀리건이 골프에서 무슨 뜻으로 통하는지 위키피디아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Mulligan_(games))

Mulligan in golf

In golf, a mulligan is a retaken shot on the first tee box, usually due to a previously errant one. Traditionally, mulligans are allowed only on the first tee shot (one per round) and are not just taken at any time of the golfer's choosing. It is sometimes called a "Finnegan" when the second shot is worse than the first. Golf tournaments held for charity may even sell mulligans to collect more money for the charity.[2]

Some social golf games also allow one mulligan per nine holes (thus two for a round of 18).[3]


보통의 경우 첫 티박스에서 친 공이 원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 - OB 또는 로스트 등이겠죠 - 벌타 없이 다시 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인데요. 주로 미국에서는 18홀 중 1번홀에서만 준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18홀 전체에서 주는 경향이 더 많지요. 심지어는 전반 하나, 후반 하나 해서 18홀 동안 2개를 주는 경우도 있구요. 원래 골프 규정에 없는 것이니, 같이 치시는 분들과 협의(?)하여 그들만의 로컬룰로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래에 대해서도 위키피디아에 자세히 나와 있는데, 요약하자면 캐나다의 골퍼인 David Mulligan 이란 사람에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요약을 해 보면 다음과 같겠네요. 


첫번째 유래. 첫 티샷을 날렸는데, 안 좋아서 다시 티샷을 날린것을 보고 친구들이 그의 이름을 따서 이런 샷을 멀리건이라고 부른 것

두번째 유래. 골프장을 올때 너무 험난한 길을 운전하고 와서 그의 보상으로 주는 샷

세번째 유래.간밤에 잠을 너무 많이 자고 와서 골프장까지 너무 허겁지겁 오게 되서 한번의 기회를 더 주는 것.

너무 멀리건을 남발하는 것도 좀 그렇지만, 친선경기나 친목을 위한 경기에서 적당한 멀리건은 오히려 청량제(?)가 될 수도 있으니 잘 사용하시면 좋겠네요. ^^*
* 출처 :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Mulligan_(games))

Origin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the origin of the term. The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USGA) cites three stories explaining that the term derived from the name of a Canadian golfer, David Mulligan, one time manager of the Waldorf Astoria Hotel in New York City, who played at the Country Club of Montreal golf course, in Saint-Lambert near Montreal during the 1920s. One version has it that one day after hitting a poor tee shot, Mulligan re-teed and shot again. He called it a "correction shot," but his friends thought it more fitting to name the practice after him. David Mulligan then brought the concept from Canada to the famous U.S. golf clubWinged Foot. A second version has the extra shot given to Mulligan due to his being jumpy and shaky after a difficult drive over theVictoria Bridge to the course. The final version of the David Mulligan story gives him an extra shot after having overslept, rushing to get ready to make the tee time.[4]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Name __

Password __

Link (Your Website)

Comment

SECRET | 비밀글로 남기기